정보자료
숲해설
♥ 진실농원 ♥
2008. 1. 6. 19:18
11. 덩굴식물
숲이 우거지면 나무줄기를 타고 오르는 덩굴식물이 발달합니다. 비교적 크게 자라는 덩굴식물로는 칡, 등칡, 능소화, 송악, 담쟁이덩굴 등이 있습니다.
12. 우점도의 구분(등급)
우점도란 어떤 식물이 숲에서 얼마나 많은 개체가, 얼마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등급입니다. 우점도는 5, 4, 3, 2b, 2a, 2m, 1, +, r로 표시합니다. 5는 75%이상을 차지하는 것, 4는 75%에서 50%까지, 3은 50%에서 25%까지의 피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2b는 25%에서 12.5%, 2a는 12.5%에서 5%까지를 나타내고, 2m은 피도 5%에서 1%이나 개체수가 50개체 이상인 것, 1은 피도 5%에서 1%이며 50개체 이하인 것을 나타내며 +는 5%이하에서 1% 사이이고 1개체인 경우입니다. 이 구분을 통해 숲을 구성하는 식물들의 우점도를 쉽고 빠르게 조사할 수 있습니다.
13. 식물의 분포양식
분포양식에는 규칙분포와 불규칙분포가 있습니다. 규칙분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타나는 경우로서 과수원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자연상태에서는 대부분 불규칙분포를 하는데 일정한 지역에 모여 사는 군생을 하는것과 군데군데 1∼2개체씩 산생하는 것이 있습니다. 소나무, 참나무류, 거제수나무는 군생, 전나무나 피나무는 산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4. 지도보기(능선과 계곡)
지도를 잘 볼 줄 알면 산에서 고생을 안 할 수 있습니다. 지도보기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능선과 계곡을 구분하는 것이죠. 지도는 해발고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선인 등고선을 통하여 지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해발고가 낮은 것이 높은 것 쪽으로 들어가면 계곡, 높은 선이 낮은 선 쪽으로 나온 것은 능선을 나타냅니다. 산에서 길을 잃었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길을 따라 가는 것이고 그 다음은 능선을 따라 가는 것입니다.
15. 굴피집
나무중에서 수피가 두꺼운 나무들이 있죠? 굴참나무, 굴피나무, 황벽나무가 그것입니다. 이런 나무들에서 벗긴 수피를 굴피라고 하며 벗긴 굴피를 납작헤게 펴서 지붕을 이은 것을 굴피집이라 합니다.
16. 도토리와 묵
도토리는 참나무류의 열매를 말하는데 밤나무처럼 씨에 전분이 많아 가루를 만들어 물과 섞어 끓여서 도토리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열매를 그늘에 말려 딱딱하게 목질화된 껍질을 벗기고 물에 불려 떫은 맛을 내는 탄닌 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말려서 빻으면 묵가루가 됩니다. 참나무류 중에서 가장 맛있는 묵을 만들 수 있는 나무는 졸참나무라고 합니다.
17. 숯
고기를 가장 맛있게 구워 먹는 방법은 숯불구이입니다. 숯은 나무를 불완전 연소시켜 탄소 덩어리로 만든 것으로 과거에는 서울, 경주 같은 도성에서 연기가 나지 않고 난방을 하기 위해 장작 대신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숯 중에서는 참나무 숯이 최고라고 하는데 이는 비중이 높아 화력이 가장 세기 때문입니다.
18. 고사리
고사리는 산중 음식으로서 귀중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삶아서 독을 우려내고 양념을 하여 무친 고사리나물은 고기처럼 쫄깃쫄깃하며 씹으면 씹을수록 부드러운 맛이 납니다. 고사리는 산불 난 후에 많이 나타나는데 대가 올라와 잎이 펼쳐지기 전, 즉 아기들의 손처럼 잎이 오므려져 있을 때 꺾어야 합니다.
19. 취나물
취나물 역시 고사리만큼이나 흔하고 귀중한 산나물입니다. 참취, 곰취, 미역취 등도 먹을 수 있죠. 그래서 심마니들은 산에 들 때 쌀과 된장, 냄비만 가지고 가면 끼니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 버섯
간혹 독버섯을 잘못 먹어 죽는 경우가 보도되곤 합니다. 버섯에는 표고버섯이나 느타리버섯처럼 먹을 수 있는 식용버섯이나 영지버섯, 운지버섯처럼 약용으로 쓸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빨강, 노랑 등으로 예쁘게 장식된 독버섯도 많이 있습니다
숲이 우거지면 나무줄기를 타고 오르는 덩굴식물이 발달합니다. 비교적 크게 자라는 덩굴식물로는 칡, 등칡, 능소화, 송악, 담쟁이덩굴 등이 있습니다.
12. 우점도의 구분(등급)
우점도란 어떤 식물이 숲에서 얼마나 많은 개체가, 얼마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등급입니다. 우점도는 5, 4, 3, 2b, 2a, 2m, 1, +, r로 표시합니다. 5는 75%이상을 차지하는 것, 4는 75%에서 50%까지, 3은 50%에서 25%까지의 피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2b는 25%에서 12.5%, 2a는 12.5%에서 5%까지를 나타내고, 2m은 피도 5%에서 1%이나 개체수가 50개체 이상인 것, 1은 피도 5%에서 1%이며 50개체 이하인 것을 나타내며 +는 5%이하에서 1% 사이이고 1개체인 경우입니다. 이 구분을 통해 숲을 구성하는 식물들의 우점도를 쉽고 빠르게 조사할 수 있습니다.
13. 식물의 분포양식
분포양식에는 규칙분포와 불규칙분포가 있습니다. 규칙분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타나는 경우로서 과수원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자연상태에서는 대부분 불규칙분포를 하는데 일정한 지역에 모여 사는 군생을 하는것과 군데군데 1∼2개체씩 산생하는 것이 있습니다. 소나무, 참나무류, 거제수나무는 군생, 전나무나 피나무는 산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4. 지도보기(능선과 계곡)
지도를 잘 볼 줄 알면 산에서 고생을 안 할 수 있습니다. 지도보기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능선과 계곡을 구분하는 것이죠. 지도는 해발고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선인 등고선을 통하여 지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해발고가 낮은 것이 높은 것 쪽으로 들어가면 계곡, 높은 선이 낮은 선 쪽으로 나온 것은 능선을 나타냅니다. 산에서 길을 잃었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길을 따라 가는 것이고 그 다음은 능선을 따라 가는 것입니다.
15. 굴피집
나무중에서 수피가 두꺼운 나무들이 있죠? 굴참나무, 굴피나무, 황벽나무가 그것입니다. 이런 나무들에서 벗긴 수피를 굴피라고 하며 벗긴 굴피를 납작헤게 펴서 지붕을 이은 것을 굴피집이라 합니다.
16. 도토리와 묵
도토리는 참나무류의 열매를 말하는데 밤나무처럼 씨에 전분이 많아 가루를 만들어 물과 섞어 끓여서 도토리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열매를 그늘에 말려 딱딱하게 목질화된 껍질을 벗기고 물에 불려 떫은 맛을 내는 탄닌 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말려서 빻으면 묵가루가 됩니다. 참나무류 중에서 가장 맛있는 묵을 만들 수 있는 나무는 졸참나무라고 합니다.
17. 숯
고기를 가장 맛있게 구워 먹는 방법은 숯불구이입니다. 숯은 나무를 불완전 연소시켜 탄소 덩어리로 만든 것으로 과거에는 서울, 경주 같은 도성에서 연기가 나지 않고 난방을 하기 위해 장작 대신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숯 중에서는 참나무 숯이 최고라고 하는데 이는 비중이 높아 화력이 가장 세기 때문입니다.
18. 고사리
고사리는 산중 음식으로서 귀중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삶아서 독을 우려내고 양념을 하여 무친 고사리나물은 고기처럼 쫄깃쫄깃하며 씹으면 씹을수록 부드러운 맛이 납니다. 고사리는 산불 난 후에 많이 나타나는데 대가 올라와 잎이 펼쳐지기 전, 즉 아기들의 손처럼 잎이 오므려져 있을 때 꺾어야 합니다.
19. 취나물
취나물 역시 고사리만큼이나 흔하고 귀중한 산나물입니다. 참취, 곰취, 미역취 등도 먹을 수 있죠. 그래서 심마니들은 산에 들 때 쌀과 된장, 냄비만 가지고 가면 끼니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 버섯
간혹 독버섯을 잘못 먹어 죽는 경우가 보도되곤 합니다. 버섯에는 표고버섯이나 느타리버섯처럼 먹을 수 있는 식용버섯이나 영지버섯, 운지버섯처럼 약용으로 쓸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빨강, 노랑 등으로 예쁘게 장식된 독버섯도 많이 있습니다